들어가기 앞서...
서버에 요청을 할때 무조건 HTTP 와 HTTPS 를 고려해야한다.
옛날에는 HTTP 를 사용했지만 , 요즘은 HTTPS 로 보안성이 높아 많이 사용된다.
원한다면 풀어줄 수 있다.
Android 와 Ios 가 기본적으로 HTTP 요청을 보안적으로 좋지 않다고 생각을 해 막고 있다.
하지만 이 간단한 세팅으로 HTTP 요청을 막는걸 해제 할 수 있다.
주의 깊게 봐야하는 점...
아래 DOC 로 가서 HTTP 와 HTTPS 의 정의와 차이와 메소드를 보면 된다.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Overview
HTTP 개요 - HTTP | MDN
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.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, 클라이언트-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합니다. 클라이언트-서버
developer.mozilla.org
본문으로...
- Ios 같은 경우
프로젝트 내의 Ios > Runner > info.plist 파일 맨 아래에 가서 코드를 하나 추가해주자!
50 번째 줄 </dict> 안에 이 코드를 넣어주면 된다.
이 코드는 플러터에서 세팅하는게 아니라 ios 를 실제로 개발할 때도 넣어줘야 하는 것이다.
<key>NSAppTransportSecurity</key>
<dict>
<key>NSAllowsLocalNetworking</key>
<true/>
<key>NSAllowsArbitraryLoadsInWebContent</key>
<true/>
</dict>
- Android 같은 경우
프로젝트내 android > app > src> main > AndroidManifest.xml 파일
첫번쨰 줄 <manifest> </manifest> 태그 뒤 부터 작성해준다.
우선 안드로이드는 인터넷 권한을 넣어줘야 한다. 개발할 때는 상관없지만 배포할 때는 무조건 해줘야한다.
그리고 HTTP 도 해제 해준다.
끝으로...
- Ios 와 Android 각각 HTTP 프로토콜 사용할 수있는 방법을 알았다.

'⭐️ 개발 > 플러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론] StatefulWidget (2) StatefulWidget 선언하기 (0) | 2022.11.03 |
---|---|
[이론] StatefullWidget (1) 이론 (1) | 2022.11.02 |
[프로젝트] 블로그 웹앱 (1) Controller 사용 (0) | 2022.11.02 |
[에러] ...PlatformException ... 해결방법 (0) | 2022.11.01 |
[프로젝트] 블로그 웹앱 (2) 프로젝트에 패키지 추가 (0) | 2022.11.01 |